Photographs Discoved in a Box From My Grandfather

Korea 1957-1961

We are honored to introduce
Korean Image Archive
by Blair Naujok 김강혁
Founder & Director.

“A few years ago I inherited a set of 300 35mm film slides photographed by my grandfather when he was stationed in Korea between 1957-61. He passed away before I was born, so these photos are one of my few connections to him. At the time I was living in South Korea and found the locations he photographed. During this search I learned that photos aren't just records but memories. Accessing these memories helped me to know him. They also helped me understand my grandmother because these images were taken where she spent the first 25 years of her life. And of course understanding their history helped me better understand my own identity and place in the world as someone who's 1/4th Korean, born in the US, and has ties to both countries.

몇 년 전 저는 외할아버지가 1957년부터 1961년까지 한국에 살며 촬영하신 300장의 35mm 필름 슬라이드를 물려받았습니다. 외할아버지는 제가 태어나기 전 돌아가셨고 이 사진들은 외할아버지를 떠올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물건들 중 하나입니다. 사진들을 받았을 때 저는 한국에 살고 있었고, 외할아버지가 사진을 찍었던 장소들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사진은 기록일 뿐 아니라 기억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이 기억들을 찾아가며 외할아버지를 조금씩 알게 되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제 외할머니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이기도 했는데, 이 사진들은 외할머니가 태어나서 스물다섯이 될 때까지 사시던 곳에서 촬영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태어난 ¼ 한국계 혼혈로서 두 나라와 얽혀 있는 저에게 두 분의 역사를 알아가는 것은 자연스럽게 세계에서의 저의 위치와 정체성을 탐구하는데 주었습니다.”

Koreans outside their home after the Korean war
Original Korean hanbok in the 50s

“외할아버지의 사진들을 한국에 사는 이들에게 보여주었을 때 저는 이러한 사진들, 특히 오래된 컬러 사진들이 한국인들이 보거나 구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당시에 찍힌 많은 사진들이 미군들이 촬영한 것이며 대부분 아직 미국에 보관되어 있고, 공개되어 있는 경우 영어로 기재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물리적, 언어적일 뿐 아니라 문화적인 단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단절을 제 개인적 삶 안에서도 이겨내왔기 때문에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제 삶에서 느낀 단절을 이 사진들의 도움과 함께 극복할 수 있었다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가능한 일이지 앓을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I also remember the reactions that so many people I know in Korea had to my grandfather's photographs and came away with a sense that it's difficult for Koreans to access these types of images, especially the older ones in color. I further learned that many photos from this time were taken by other American soldiers and are still located in the US, presented in English when made available. This creates disconnects – a physical/linguistic one and cultural one. I know they exist, because I had to mend these disconnects in my own life. And if I could mend them through my own experiences, partly assisted by these photos, maybe others can too.”

A korean village, 1950s
Korean woman in a beautiful hanbok

“I don't want to make it sound like I'm the only one who can provide access to these photographs. I've seen similar photos elsewhere, including those that were returned to Korea, but I feel like this is one way I can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Korean society. I lived there for four years and for a time thought it would become my permanent home. Unfortunately, things didn’t work out. I’m back in the US, but I didn’t want to say goodbye. So for now this archive is how I’ll maintain the connection I found and contribute to a society that's still a part of me.

이러한 사진들을 제공하고 공개할 수 있는 것이 저 뿐이라고 말하고 싶은 것은 아닙니다. 비슷한 사진들이 수집되어 한국으로 반환된 경우들도 이미 있는 것을 압니다. 그러나 저는 이 자료원이 저로서 한국 사회에 작게나마 기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에서 사 년을 살았고, 한때는 정착을 생각했던 곳이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여러 사정으로 인해 지금은 미국에 돌아왔지만, 작별 인사를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이 자료원을 통해 여전히 저의 일부인 한국 사회와 인연을 이어가며 기여하고자 합니다.”

- 김강혁, 창립자와 원장

American GI, Korean Wife, two mixed children

Collecting, preserving, and providing access to historic Korean images discovered in the US. One box of 300 family photos turned into 2476 images.

You can see more at Korean Image
one of the most amazing catalogues of photos of Korea from 1957-1961

Previous
Previous

Himang - Korean, Indian, Raised in Beijing // Million+ Views Interview

Next
Next

Dutch & Korean - The Different Versions of Myself